티스토리 뷰
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 사용처 추가 지급 15만~55만
수도권 vs 비수도권·농촌 최종 지급액 & 사용처·신청법
- 기본 지급액: 1인 15 만~50 만 원 (소득 4단계 차등)
- 추가 지급: 비수도권 +3 만 원, 농촌 인구소멸지역 +5 만 원
- 최종 지급액: 수도권 ≤50 만 원 / 비수도권 ≤53 만 원 / 농촌 ≤55 만 원
- 사용처: 전통시장·친근가게·병원·학원 등 동네 소상공인 가맹점
- 제한처: 대형마트·백화점·면세점·유흥업소·온라인몰 등
- 신청: 1차(15 만 원) 자동, 2차(추가분) 7 – 8월 ‘정부24·카드사 앱·주민센터’
1. 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이란?
정부가 추경으로 마련한 전 국민 보편+취약계층 맞춤 지원입니다.
- 소득 상위 10 %: 15 만 원
- 일반(소득 하위 90 %): 25 만 원
- 차상위·한부모: 40 만 원
- 기초생활수급: 50 만 원
2. 최종 지급액 비교 (수도권·비수도권·농촌)
소득 구간 | 수도권 | 비수도권(+3만원) | 농촌 인구소멸지역(+5 만) |
상위 10 % | 15 만 | 18 만 | 20 만 |
일반(하위 90 %) | 25 만 | 28 만 | 30 만 |
차상위·한부모 | 40 만 | 43 만 | 45 만 |
기초생활수급 | 50 만 | 53 만 | 55 만 |
※ 민주당이 6 월 30 일 발표한 증액안 기준이며, 국회 추경 심의 후 확정 예정입니다.
3. 사용처 & 사용기한
✅ 어디서 쓸 수 있나요?
- 거주지 내 지역 상권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정책입니다. 다만 행정안전부는 “광역지자체 단위로 사용처 확대 검토 중”이라고 밝혔지만 현 시점(2025년 6월 말) 기준으로는 행정동 단위, 혹은 시군구 단위 사용이 확정되어 있습니다.
- 전통시장, 소형마트, 동네 식당·카페, 학원, 병원·약국, 미용실 등 지역 소상공인 가맹점
- 지역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IC카드·QR 결제 모두 가능
- 사용기한: 지급일로부터 3 ~ 4 개월 (잔액 자동 소멸)
❌ 사용할 수 없는 곳
대형마트·백화점·면세점·유흥업소·온라인 쇼핑몰·배달앱 등은 결제 차단됩니다.
4. 민생회복지원금 소비 쿠폰 신청·수령 방법
구분 | 절차 | 비고 |
1차 15 만 원 | ‘국민 카드·지역화폐’로 자동 지급 | 7 월 초~중 예정 |
2차 추가분 | ① 대상 조회 → ② 온라인(정부24·카드사·지역화폐 앱) 또는 오프라인(주민센터·농협) 신청 | 7 월 말~8 월 말 |
수단 선택 | 카드 포인트·지역사랑상품권·선불카드 중 택 1 | 모바일 & 실물 선택 가능 |
건강보험료·소득 데이터로 자동 자격 판정되며, 디지털 취약층은 주민센터 창구에서 대리신청·선불카드 수령 가능할 예정입니다.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- 부부·가족 합산 가능한가요? 개별 지급·개별 사용이 원칙. 다만 가족카드로 합산 결제는 가능.
- 추가 지급 대상은 자동 반영되나요? 거주 주소지가 ‘비수도권’ 또는 ‘84개 인구소멸지역’이면 자동 산정. 주소 이전 시 주민센터 확인 필수.
- 언제까지 써야 하나요? 카드·상품권 유효기간(3~4 개월) 내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.
- 온라인 결제 방법은 없나요? 지역화폐 특성상 오프라인 결제만 허용. 단, 일부 지자체는 지역 배달앱과 제휴 검토 중.
지급액 추가 확정 및 정확한 사용처&방법은 7월 국회 추경 통과 공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.
민생회복지원금 소비쿠폰 사용처 추가 지급 15만~55만
반응형
그리드형
댓글